1. Controller의 작성
스프링 MVC의 Controller는 하나의 클래스 내에서 여러 메서드를 작성하고, @RequestMapping 등을 이용해서 URL을 분기하는 구조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클래스에서 필요한 만큼 메서드의 분기를 이용하는 구조로 작성한다.
과거에는 이 단계에서 Tomcat(WAS)를 실행하고 웹 화면을 만들어서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의 코드를 작성해 왔다. 이 방식은 시간도 오래 걸리거니와 테스트를 자동화 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WAS를 실행하지 않고 Controller를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1-1. BoardController 의 분석
작성하기 전에는 반드시 현재 원하는 기능을 호출하는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테이블로 정리한 후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
Task | URL | Method | Parameter | From | URL 이동 |
전체 목록 | /board/list | GET | |||
등록 처리 | /board/register | POST | 모든 항목 | 입력화면 필요 | 이동 |
조회 | /board/read | GET | bno = 123 | ||
삭제 처리 | /board/remove | POST | bno | 입력화면 필요 | 이동 |
수정 처리 | /board/modify | POST | 모든 항목 | 입력화면 필요 | 이동 |
테이블에서 From 항목은 해당 URL을 호출하기 위해서 별도의 입력화면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설계는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진행할 수 있다.
2. BoardController 의 작성
BoardController는 org.zerock.controller 패키지에 선언하고 URL 분석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메서드를 설계한다.
package org.zerock.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lombok.extern.log4j.Log4j;
@Controller
@Log4j
@RequestMapping("/board/*")
public class BoardController {
}
BoardController는 @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추가해서 스프링의 빈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고, @RequestMapping을 통해서 '/board'로 시작하는 모든 처리를 BoardController가 하도록 지정한다. BoardController가 속한 org.zerock.controller 패키지는 servlet-context.xml에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
(Java 설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ComponentScan을 이용)
2-1. 목록에 대한 처리와 리스트
2-1-1. BoardController에서 전체 목록을 가져오는 처리를 먼저 작성한다. BoardController는 BoardService 타입의 객체와 같이 연동해야 하므로 의존성에 대한 처리도 같이 진행한다.
package org.zerock.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zerock.service.BoardService;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log4j.Log4j;
@Controller
@Log4j
@RequestMapping("/board/*")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BoardController {
private BoardService service;
@GetMapping("/list")
public void list(Model model) {
log.info("list");
model.addAttribute("list", service.getList());
}
}
BoardController 는 BoardService에 대해서 의존적이므로 @AllArgsConstructor를 이용해서 생성자를 만들고 자동으로 주입하도록 한다. (만일 생성자를 만들지 않을 경우에는 @Setter(onMethod_ = {@Autowired}) 를 이용해서 처리한다.)
list()는 나중에 게시물의 목록을 전달해야 하므로 Model을 파라미터로 지정하고, 이를 통해서 BoardServiceImpl 객체의 getList() 결과를 담아 전달한다. (=addAttribute) BoardController 테스트는 스프링의 테스트 기능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다.
2-1-2. src/test/java 에 org.zerock.controller 패키지에 BoardControllerTests 클래스를 선언한다.
테스트 코드는 기존과 좀 다르게 진행된다. 그 이유는 웹을 개발할 때 매번 URL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Tomcat과 같은 WAS를 실행하는 불편한 단계를 생략하기 위해서다. 스프링의 테스트 기능을 활용하면 개발 당시에 Tomcat(WAS)를 실행하지 않고도 스프링과 웹 URL을 테스트할 수 있다.
WAS를 실행하지 않기 위해서는 약간의 추가적인 코드가 필요하지만 반복적으로 서버를 실행하고 화면에 입력하고, 오류를 수정하는 단계를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Controller를 테스트할 때는 한 번쯤 고려해 볼 만한 방식이다.
2-1-3. BoardControllerTests 클래스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한다.
package org.zerock.controller;
import org.junit.Before;
import org.junit.Test;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ontex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WebApp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MockMvc;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quest.MockMvcRequestBuilders;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setup.MockMvcBuilder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ontext.WebApplicationContext;
import lombok.Setter;
import lombok.extern.log4j.Log4j;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WebAppConfiguration
@ContextConfiguration({
"file:src/main/webapp/WEB-INF/spring/root-context.xml",
"file:src/main/webapp/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
@Log4j
public class BoardControllerTests {
@Setter(onMethod_ = {@Autowired})
private WebApplicationContext ctx;
private MockMvc mockMvc;
@Before
public void setup() {
this.mockMvc = MockMvcBuilders.webAppContextSetup(ctx).build();
}
@Test
public void testList() throws Exception{
log.info(
mock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get("/board/list"))
.andReturn()
.getModelAndView()
.getModelMap());
}
}
테스트 클래스의 선언부에는 @WebApp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적용한다. @WebAppConfiguration은 Servlet의 ServletContext를 이용하기 위해서인데, 스프링에서는 WebApplicationContext라는 존재를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Before 어노테이션이 적용된 setUp()에서는 import 할 때 JUnit을 이용해야 한다. @Before가 적용된 메서드는 모든 테스트 전에 매번 실행되는 메서드가 된다.
MockMvc는 말 그대로 '가짜 mvc'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짜로 URL과 파라미터 등을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만들어서 Controller를 실행해 볼 수 있다.
testList()는 MockMvcRequestBuilders라는 존재를 이용해서 GET 방식의 호출을 한다. 이후에는 BoardController의 getList()에서 반환된 결과를 이용해서 Model에 어떤 데이터들이 담겨 있는지 확인한다. Tomcat을 통해서 실행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기존의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실행한다.
testList()를 실행한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시물들을 볼 수 있다.
2-2. 등록 처리와 테스트
2-2-1. BoardController에 POST 방식으로 처리되는 register()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다.
@PostMapping("/register")
public String register(BoardVO board, RedirectAttributes rttr) {
log.info("register : " + board);
service.register(board);
rttr.addFlashAttribute("result", board.getBno());
return "redirect:/board/list";
}
register() 메서드는 조금 다르게 String을 리턴 타입으로 지정하고, Redirect Attributes를 파라미터로 지정한다. 이는 등록 작업이 끝난 후 다시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함인데, 추가적으로 새롭게 등록된 게시물의 번호를 같이 전달하기 위해서 RedirectAttributes를 이용한다.
리턴 시에는 'redirect:' 접두어를 사용하는데 이를 이용하면 스프링 MVC가 내부적으로 response.sendRedirect()를 처리해 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2-2-2. 테스트 코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Test
public void testRegister() throws Exception{
String resultPage = mock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post("/board/register")
.param("title", "테스트 새글 제목")
.param("content", "테스트 새글 내용")
.param("writer", "user00")
).andReturn().getModelAndView().getViewName();
log.info(resultPage);
}
테스트할 때 MockMvcRequestBuilder의 post()를 이용하면 POS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고, param()을 이용해서 전달해야 하는 파라미터들을 지정할 수 있다. (<input> 태그와 유사한 역할)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최초 작성 시에는 일이 많다고 느껴지지만 매번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수정하는 경우 반복적인 테스트가 수월해진다.
2-2-3. 테스트 코드 실행 로그
실행되는 로그를 살펴보면 상단에 BoardVO 객체로 올바르게 데이터가 바인딩된 결과를 볼 수 있고, 중간에는 SQL의 실행결과가 보인다. 마지막에는 최종 반환 문자열을 확인할 수 있다.
2-3. 조회 처리와 테스트
등록 처리와 유사하게 조회 처리도 BoardController 를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조회는 GET 방식으로 처리하므로, @GetMapping을 이용한다.
2-3-1. BoardController 클래스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한다.
@GetMapping("/get")
public void get(@RequestParam("bno") Long bno, Model model) {
log.info("/get");
model.addAttribute("board", service.get(bno));
}
BoardController의 get() 메서드에는 bno 값을 좀 더 명시적으로 처리하는 @RequestParam을 이용해서 지정한다. (파라미터 이름과 변수 이름을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한 화면 쪽으로 해당 번호의 게시물을 전달해야 하므로 Model을 파라미터로 지정한다.
2-3-2. 테스트 코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Test
public void testGet() throws Exception{
log.info(mock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
.get("/board/get")
.param("bno", "2"))
.andReturn()
.getModelAndView().getModelMap());
}
2-3-3. 테스트 로그 화면
파라미터가 제대로 수집되었는지 확인하고 SQL의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에는 Model에 담겨있는 BoardVO 인스턴스의 내용을 살펴볼수 있다.
2-4. 수정 및 삭제 처리와 테스트
수정 및 삭제 작업은 등록과 유사하다. 수정의 경우, 변경된 내용을 수집해서 BoardVO 파라미터로 처리하고, BoardService를 호출한다. 수정 작업을 시작하는 화면의 경우에는 GET 방식으로 접근하지만 실제 작업은 POST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PostMapping을 이용해서 처리한다. 삭제의 경우, 반드시 POST 방식으로만 처리한다.
2-4-1. BoardController에 아래와 같은 메서드를 추가한다.
@PostMapping("/modify")
public String modify(BoardVO board, RedirectAttributes rttr) {
log.info("modify:"+board);
if(service.modify(board))
rttr.addFlashAttribute("result", "success");
return "redirect:/board/list";
}
@PostMapping("/remove")
public String remove(@RequestParam("bno") Long bno, RedirectAttributes rttr) {
log.info("remove........" + bno);
if(service.remove(bno))
rttr.addFlashAttribute("result", "sucess");
return "redirect:/board/list";
}
수정 : service.modify()는 수정 여부를 boolean으로 처리하므로 이를 이용해서 성공한 경우에만 RedirectAttributes에 추가한다.
삭제 : BoardController의 remove()는 삭제 후 페이지의 이동이 필요하므로 RedirectAttributes를 파라미터로 사용하고 'redirect'를 이용해서 삭제 처리 후에 다시 목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2-4-2. 테스트 코드의 처리
@Test
public void testModify() throws Exception{
String resultPage = mockMvc
.perform(MockMvcRequestBuilders.post("/board/modify")
.param("bno", "1")
.param("title", "수정된 테스트 제목임둥")
.param("content", "수정된 테스트 글 내용임당")
.param("writer", "user00"))
.andReturn().getModelAndView().getViewName();
log.info(resultPage);
}
@Test
public void testRemove() throws Exception{
String resultPage = mock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post("/board/remove")
.param("bno", "9")
).andReturn().getModelAndView().getViewName();
log.info(resultPage);
}
MockMvc를 이용해서 파라미터를 전달할 때는 문자열로만 처리해야 한다.
2-4-3. 테스트 로그
경우에 따라서는 Controller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에 대해서 거부감을 가지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은 일정에 여유가 없다는 이유로 테스트를 작성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멤버들의 경험치가 낮을수록 테스트를 먼저 진행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반복적으로 입력과 수정, WAS의 재시작 시간을 고려해보면 Controller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선택이 더 빠른 개발의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다.
'Spr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기본적인 웹 게시물 관리 - 화면 처리 2 (0) | 2019.12.20 |
---|---|
[14] 기본적인 웹 게시물 관리 - 화면 처리 (0) | 2019.12.19 |
[12] 기본적인 웹 게시물 관리 - 비즈니스 계층 (0) | 2019.12.19 |
[11] 기본적인 웹 게시물 관리 - 영속/비즈니스 계층의 CRUD 구현 (0) | 2019.12.18 |
[10] 기본적인 웹 게시물 관리 - 스프링 MVC 프로젝트의 기본 구성 (0) | 2019.12.18 |